WSL2를 항상 켜두는 방법: 백그라운드 유지 문제 해결하기

문제 상황

WSL2(Windows Subsystem for Linux 2)를 PC나 Mini PC에서 리눅스 서버처럼 계속 실행해두고 싶었습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 자동으로 종료되어 서버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했습니다.

여러가지를 해봤지만 모두 실패했는데 성공한 방법을 공유합니다.

시도했던 해결책들

1. 백그라운드 프로세스 실행

WSL2는 기본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실행 중인 프로세스가 없으면 자동으로 종료될 수 있습니다. 백그라운드 프로세스를 실행해 놓았지만 효과가 없었습니다.

2. 시스템 절전 모드 비활성화

Windows 시스템이 절전 모드나 하이버네이트로 전환되면 WSL2가 중단될 수 있습니다. 절전 모드를 사용하지 않도록 설정해 보았지만 역시 해결되지 않았습니다.

3. WSL 설정 문제 확인

특정 서비스(예: Redis) 실행 시 WSL이 중단되는 경우가 있다고 하여 확인했지만, 이런 문제는 없었습니다.

4. 리소스 과부하 체크

WSL2가 과도한 메모리나 CPU를 사용할 경우, Windows가 이를 강제로 종료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vmmem 프로세스가 높은 리소스를 소모하는 경우가 있는데, 이런 경우 자동 종료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문제도 아니었습니다.

5. 기본 쉘 설정 확인

기본 쉘 설정이 잘못되어 실행되지 않거나 종료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예를 들어, 삭제된 쉘(zsh 등)을 기본으로 설정한 경우 문제가 발생할 수 있지만, 이 문제도 아니었습니다.

해결 방법

여러 방법을 시도한 끝에 다음 명령어를 실행하면 WSL2가 백그라운드에서 계속 실행되는 것을 확인했습니다:

wsl --exec dbus-launch true

이 명령어는 WSL 프로세스를 활성 상태로 유지해줍니다. D-Bus 세션을 시작하고 이를 통해 WSL의 백그라운드 프로세스가 계속 실행되도록 합니다.

결론

WSL2를 리눅스 서버처럼 지속적으로 사용하려면 여러 설정이나 최적화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중에서도 wsl --exec dbus-launch true 명령어가 가장 효과적인 해결책이었습니다. 이 방법으로 WSL2를 지속적으로 실행하여 서버 용도로 안정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Author: 떰학

답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