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ong의 모든 글

리눅스에서 한글 파일 정렬이 안될 때 – Sorting Korean text file on Linux

다음과 같은 파일이 있습니다.

파일이름은 test.txt입니다.

1       홍길동
2       전우치
4       변학도
3       이몽룡
5       성춘향

이렇게 하면 2번째 커럼으로 소팅이 되야 합니다.

sort -k 2 test.txt


그런데 이렇게 해도 소팅이 안되고 순서가 정렬이 안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LC_COLLATE나 LC_ALL 환경변수에 한글을 지정해 줘야 합니다.

$ export LC_COLLATE="ko_KR.utf8"
# 또는
$ export LC_ALL="ko_KR.utf8"

위의 명령으로 리눅스 환경의 언어셋을 변경하면 소팅이 되는데 에러 메세지가 나올 수 있습니다.

-bash: warning: setlocale: LC_COLLATE: cannot change locale (ko_KR.utf8): No such file or directory

이 에러가 나오는 것은 언어패이 설치가 되어 있지 않기 때문입니다. 그럴 때는 이렇게 해줍니다.

# CentOs나 Redhat 리눅스 계열
$ sudo apt install language-pack-ko

# Ubuntu 우분투 계열
$ sudo yum install glibc-langpack-ko

그 뒤에 다시 sort 코맨드로 정렬을 해보면 잘 됩니다.

$ sort -k 2 1.txt

4       변학도
5       성춘향
3       이몽룡
2       전우치
1       홍길동

데이터과학자가 되려면 뭘 배워야 하나?

데이터과학자가 되기 위해서 필요한 것들이라는 주제로 포스트를 몇개 작성하였었지만 더 간략한 것을 원하는 분들이 많다는 것을 알았습니다.

간단하게 말하면 지금은 아래의 4가지입니다.

  1. SQL
  2. R 또는 Python 언어
  3. Linux (리눅스)
  4. Algebra (수학)

여기에서 SQL, R, Python, Linux는 다해서 1 ~ 2년 배운다면 기초적인 일을 할 수는 있습니다. 그게 그렇게나 오래 걸리나? 라고 생각하실 지 모르겠지만 그렇게 만만한 것들 아닙니다.

SQL은 책 보고 SQLd 자격증 준비하면서 같이 공부하세요.

R, Python은 책 읽고 인터넷 강좌 들으세요. 그리고 코드 따라하기를 여러 번 해보세요.

Linux도 책 사서 보거나 인터넷 자료 뒤져 보시고, 인터넷 강좌 보고 그 후에 연습을 하면 됩니다.

문제는 수학입니다. 수학은 선형대수학, 미적분, 미방까지 해야 하고 논리적 사고방식과 숫자를 다루는 연습까지 되야 하기 때문에 속성으로 훈련이 안됩니다.

그리고 결국 나중에 좋은 기계학습모델을 만들거나 좋은 수리 모형을 만들 수 없게 되고 역량이 떨어지게 됩니다. 결국 본인의 몸값도 높일 수 없게 됩니다. 인터넷 강의 들으면서 날마다 무지막지하게 공부하시면 됩니다.

물론 수학을 원래 잘하는 분들은 괜찮겠습니다만 그런 분들 별로 없습니다.

각종 AI 프레임워크 별로 GPU 사용 가능 확인하기

Tensorflow, Keras, Torch에서 각 버전과 GPU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알아내는 코드입니다.

GPU가 장착된 서버 또는 데스크탑에서도 Nvidia 드라이버와 CUDA를 제대로 설치하지 않아서 사용을 못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GPU가 있고 또 사용할 일이 있을 것 같다면 확인을 하고 시작하는 것이 좋습니다.

# 립러링 프레임워크들의 버전과 GPU 확인

# 1. Tensorflow
import tensorflow as tf
print("Tensorflow version: {}".format(tf.__version__))
print("Tensorflow GPUs: {}".format(tf.test.is_gpu_available(
    cuda_only=False,
    min_cuda_compute_capability=None
)))
from tensorflow.python.client import device_lib
print("Tensorflow device list: {}".format(device_lib.list_local_devices()))

# 2. Keras
from keras import backend as K
import keras
print("Keras version: {}".format(keras.__version__))
print("Keras GPUs: {}".format(K._get_available_gpus()))

# 3. PyTorch
import torch
print("Torch device count: {}".format(torch.cuda.device_count()))
print("Torch device name: {}".format(torch.cuda.get_device_name(0)))
print("Torch CUDA is available: {}".format(torch.cuda.is_available()))

결과는 이런 식으로 나옵니다.

Tensorflow version: 2.6.0
Tensorflow GPUs: True
Keras version: 2.6.0
Keras GPUs: ['/device:GPU:0', '/device:GPU:1']
Torch device count: 2
Torch device name: NVIDIA GeForce RTX 3080
Torch CUDA is available: True

python tensorflow 에러 get_config

Python 노트북에서 Keras, Tensorflow로 작업을 하다가 패키지를 업데이트하거나 해서 GPU 설정을 잘못하면 다음가 같은 에러가 납니다.

cannot import name 'get_config' from 'tensorflow.python.eager.context' (/usr/local/lib/python3.8/dist-packages/tensorflow/python/eager/context.py)

해결책은 그냥 tensorflow gpu 버전을 같이 설치해 주면 됩니다.

pip install --upgrade tensorflow
pip install --upgrade tensorflow-gpu

기계학습과 딥러닝의 차이 – Difference Machine learning with Deep learning

기계학습, AI, 딥러닝을 구별하려면 알고리즘의 히스토리를 알아야 하기 때문에 공부하지 않고 직관적으로 이해하기 어렵습니다.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기계학습, Machine Learning, 머신러닝, ML 이라는 용어로 통용됩니다.

기계를 학습시켜서 반복적인 작업을 하게 만드는 것을 기계학습이라고 합니다. 이 때 학습이라는 것은 데이터를 넣고 데이터에 있는 패턴을 알아내서 패턴으로 부터 규칙이나 사실을 알아내고 그것을 그대로 다시 활용하는 것을 말합니다.

여기에서 데이터는 결국 숫자들의 뭉치이고 패턴이라는 규칙도 결국 숫자들입니다.

패턴을 어떻게 알아내느냐는 여러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통계학자들이 만들어낸 통계적인 알고리즘, 수학자들이 만들어낸 수학적인 알고리즘 등이고 이것들을 활용해서 만든 SVM, Decision Tree, Logistic Regression, Neural Network 등과 같은 오래된 유명한 알고리즘들이 있습니다.

이 중에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 뉴럴네트워크, NN)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과 SVM과 같은 고차원 문제를 다루는 몇가지 수학적인 알고리즘 따로 구분해서 따서 AI라고 따로 분리합니다.

그리고 인공지능이라는 쪽으로 협소하게 구분해서 AI라고 합니다.

인공지능 AI

인간의 뇌를 모방한 후 알아서 스스로 작동하게 하는 모든 것을 AI라고 합니다. 게임할 때 사람과 싸우는 가상의 존재들도 AI라고 부릅니다. AI는 기본적으로 알고리즘을 이용해 만든 소프트웨어와 데이터 뭉치들입니다. 앞서 설명한 기계학습의 일종입니다.

뉴럴네트워크, Neural Network, 인공신경망

인공신경망은 인간의 뇌구조를 모방한 것인데 임의로 만들어 놓은 많은 숫자들과 함수들을 배열해 놓고 데이터를 흘려 보내서 이 숫자들을 데이터의 규칙에 맞는 최적으로 숫자로 맞추게 됩니다.

그리고 이 숫자들을 나중에 활용할 때 씁니다.

흔히 예로 많이 쓰는 고양이 사진과 멍멍이 사진을 구분하게 만드는 것도 마찬가지입니다. 사진을 넣으면 사진을 조각내서 색생과 밝기 같은 것을 숫자들로 만들고 이 숫자들을 뉴럴네트워크라는 수학적인 모델에 무수히 많이 반복해서 흘려 넣습니다. 그러면 뉴럴네트워크 내에서 고양이 사진과 개 사진을 구별할 수 있는 숫자 뭉치가 나옵니다.

딥러닝, Deep Learning

뉴럴네트워크가 다 좋은데 2가지 큰 문제가 있었습니다.

첫번째, 연산을 너무 많이 한다는 것. 그러니까 CPU와 메모리를 너무 많이 쓰고 시간도 오래 걸립니다.

두번째, 숫자를 만들어 내는 층을 많이 만들면 모델이 엉망이 된다는 것입니다. 은닉레이어라고 하는데 이 층을 많이 만들 수 없었습니다.

그런데 2010년 전후로 이 알고리즘이 대격변이 일어납니다. 알고리즘의 결함을 크게 개선했고 GPU와 같은 하드웨어의 급속적인 발전으로 이 숫자 뭉치를 만들어내는 층을 더 깊게 할 수 있고 더 많이 더 빠르게 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그 뒤 이 숫자를 찾아내는 층이 더 깊어졌고 알고리즘으로 만들어낸 모델들의 정확도가 비약적으로 높아졌습니다.

이것을 딥러닝, 심층학습이라고 부릅니다.

현재의 대세는 딥러닝

데이터와 GPU가 많다면 현재는 가장 정확한 것은 딥러닝입니다.

인공지능, 자율주행, 가상현실, 게임, 대부분의 영역에서 덥러닝은 가장 활발하며 아직도 급속도로 발전하고 있습니다.

딥러닝은 뉴럴네트워크의 개선형이며 딥러닝을 만든 사람이 뉴럴네트워크의 이미지가 너무 안좋아서 다른 이름을으로 불리길 원했을 뿐 실제로는 같은 계열입니다.

하지만 여전히 많은 부분에서 전통적인 ML 기술도 쓰이고 있고 여전히 유용합니다. 예를 들어 사람의 신용평가와 같은 기계학습 모델에 딥러녕을 쓸 필요도 없고 잘 되지도 않습니다. 데이터가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이런 것은 데이터가 부족해도 잘 돌아가는 융통성있는 알고리즘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어쨌든 경우에 따라 ML도 하고 AI도 하게 되는데 그래서 이런류의 기술을 ML/AI 라고 합쳐서 많이 부릅니다.